본문 바로가기

건강학

지질대사의 형성,경로, HDL의 대사

반응형

1. 지질대사의 형성

음식을 섭취하면 여러가지 지질 성분이 몸속에 들어온다. lipid중에는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이드가 있으며 지용성 비타민  A,D,E,K가 있다. 이런 물질들이 위에서  작은 창자의 십이지장에서 처리과정을 통해 흡수된다. 분해하고 처리하기 위해서는 효소 및 담즙산이 필요하다. CCK가 분비된다. 이것은 담낭을 수축시켜서 담즙산을 분비하게 한다. 또한 췌장에서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가 분비된다. 담즙산은 친수성과 친유성이 공존한다. 큰 지방을 물과 섞기도록 도와준다. 큰 지방방울이 작은 지방 방울이 분리되어  리파아제가 트라이글리세이드를 만나면 분해된다. 트라이글리세이드는 하나의 글리세롤에  3개의 지방산이 붙여있는 형태이다.  mono글리세라이드와 2개의지방산으로 분리된다. 이형태에  콜레스테롤, 지용성 비타민들이 붙게되고 주변에  담즙산이 둘러쌓인 형태인 미셀이 형성이 된다.   이 형태로 주변의 장세포로 흡수된다.   장세포안으로 MG,FFA가 들어오면 TG로 합쳐지고 지용성 비타민, 레티놀,콜레스테롤이 지방산이 첨가되어  ester형태로 변경되어 조금더 친유성형태가 된다.  지질단백질 apoB48이 만들어진다. TG,ester화된 형태가 중심에 위치하고 ester화 도지않은 콜레스텔로이나 인지질, apoB48이 밖으로 형성한다. 이것을  킬로미크론이라고 한다. 장관의 림프계로 보내져 전신순환하게 된다. 이 킬로미크론은 간이나 말초조직으로 전달된다.

 

2.지질대사의 경로

모세혈관에는  lipoprotein lipase(LPL)이 있다. 지나가는 킬로미크론을 녹이는 역활을 한다.  킬로미크론이 LPL과 반응을 할려면 아포지질단백질이 필요하다. 아포c2,아포a5이다.  아포c2는 LPL을 활성시키는 공동인자이다. 아포A5는  LPL를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역활이다.  LPL은 킬로미크론을 분해 시키기 시작한다.  트라이글리세이드가 분해가 시작하는 것이다. 트라이글리세이드는 글라이세롤과 3개의 지방산을 가지고 있으며 분해되면서 free fatty acid가 빠져나오게된다.  모세혈관 주변은 심장근육,지방세포,골격근등이 있다. 지방산은 필요한 부분에 흡수된다. 에너지가 충분한 상태라면 지방산은 트라이글리세이드 저장형태로 변화하여 저장된다.  에너지가 필요한 상태라면 빠르게 분해되어 아세틸코일을 만들어 에너지를 사용한다.  free fatty acid는  주변으로 떠돌아다니느는 알부민과 결합하여 간으로 들어가기도한다. 다양하게 이용하게 된다.    HDL은  킬로미크론이 LPL과 반응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을 생성에 관여한다.  킬로미크론은  서서히 가수분해가 되어 점점 크기가 작아지고 킬로미크론 remnats가 된다.  킬로미크론 remnants가 간과 접촉하여 대사한다. . 킬로미크론 remnanst에 남아있는 apoB48이 있다. HDL이 apoE를 킬로미크론에 제공했다. apoB48과 apoE는 간과 접촉하는데 필요한 요소이다.   우리가 먹지않고 12시간 공복을 유지했을 경우는  이미  킬로미크론과 킬로미크론remnant는 간에서 대부분 대사가 되었기에  혈중에 남아있어서는 안된다.  

 

3.HDL의 대사

HDL의 대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간과 장에서 초기에 HDL이 합성된다. ApoA1이 콜레스테롤중에서 친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ester화 되지 않는 콜레스테롤과 인지질을  장밖으로 끌어낸다.    미성숙한 HDL형태에서  주변 말초에서 자유콜레스테롤을 수집해 온다.  LCAT효소를 통해서 일반콜레스테롤에 지방산을 첨가한다. 또한 주변에 ApoA가 있어 인지질,.free cholesterol과 가지고 성숙한 콜레스테롤이 된다.    핵이 있는 세포는 콜레스테롤을 만든다.하지만 몸밖으로 보낼려면 간세포를 통해 담즙산생성에 활용이 되거나 직접 장으로 이동시킨다. 장세포는 장내강으로 배설시킬수있다.  간에 SRB1은 HDL안에  있는 콜레스케롤ester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수시켜 나머지는 해체시키고 재활용할 수있도록 돕는 일을 한다.  결국 흡수된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배출이되고  장으로가서  장내강으로 배출이 되는 것이다  VLDL이나 킬로미크론에게 콜레스테롤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HDL은  지질 단백질에게  콜레스테롤 ester성분을 주고 트라이글리세이드 성분을 받는다.  CETP과정을 통해 가능한다. 결국 말초에 떠돌아 다니는 콜레스케롤을 HDL이 성숙과정을 통해 모아오는 것이다. 그리고 대표적인 두가지 경로를 통해 간으로 가져다 주어 담즙산 형태로 사용되거나 장내강으로배설된다.  HDL이 몸에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을 밖으로 버릴 수있도록 도와주는 역활을 하는 중요한 콜레스테롤이다. 

반응형